반응형

LG생활건강, 아모레는 중국에서 '고전하다.' 아모레는 적자 전환을 위한 면세사업이 희비가 갈라놓았다고 합니다. 하반기에 디지털 전환과 북미 사업에 속도를 내며... 자세한 내용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LG생활건강로고와 아모레로고와 관련 상품및 켐페인 이미지   출처: 각사홈페이지

올 2분기 국내 뷰티 업계의 양대산맥인 LG생활건강과 아모레 퍼시픽의 희비가 엇갈리고 있다는 소식입니다. 코로나 19 재확산에 따른 중국의 봉쇄 정책으로 양사 모두 중국 시장에서 고전하였습니다. 다만 LG생활건강은 면세 사업에서 시장의 우려보다 양호한 성과를 거두며 수익성 하락을 막았습니다. 반면 아모레퍼시픽 1년 6개월 만에 다시 적자를 냈습니다. 

업계에선 온라인 전환과 북미 시장 확대가 중국 의존도를 낮출 돌파구가 될 것이란 전망이 나오는 상황입니다. 

1. 중국 봉쇄 타격으로 나란히 실적이 악화하다. 

LG생활건강은 올 2분기 연결 기준 매출이 1조 8627억 원이며 영업이익 2166억 원을 기록하였고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각각 7,9%, 35.5% 줄어든 수치이며 지난 3월 말부터 강화된 중국 정부의 봉쇄 정책으로 중국 사업이 타격을 입었고 또한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장기화로 인하여 원재재 가격이 상승하여 수익성 확보에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다만 진난 1분기와 비교했을 때에는 매출과 영업이익이 각각 13,2%,23.4% 개선됐습니다. 뷰티 사업의 성장 덕분이라 하며 뷰티 사업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도 위축돼었으며 1분기 이후부터 회복하는 추세라 볼 수 있습니다. 

2분기 뷰티 사업 매출은 지난 1분기 보다 21.9% 상승한 8530억원이고 영업이익도 933억 원으로 1분기 보다 35.2% 증가했습니다. 

LG생활건강과 아모레퍼시픽 실적 비교 그래프 이미지   출처:금융감독원/각사

특히 중국 시장에서 럭셔리 브랜드 '후'의 인기가 이어지면서 타격이 줄었으며 사측은 '후' 브랜드가 상반기 중국 최대 행사인 6.18 쇼핑 축제에서 더우인과 화이 쇼우 플랫폼 내 뷰티 매출 1위를 달성하였다고 밝히고 여기에 가격 우너 책을 지키면서도 매출 회복세를 보여 지난 1분기 대비 36% 성장, 전년 대비 역성장 폭을 줄였다고 설명하였습니다. 

반면 아모레퍼시픽은 중국 시장의 타격을 피해 가지 못했습니다. 아모레퍼시픽 그룹(아모레G)은 지난 2분기 109억 원의 손실을 내며 적자 전환했습니다. 매출은 1조 264억 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1.3% 감소하였고 주력 계역사인 아모레 퍼시픽도 2분기 195억 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했습니다. 매출은 9457억 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9.6% 줄었습니다. 

2분기 아모래 퍼시픽 그룹의 뷰티 사업 매출은 9619억 원이고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9.6% 줄었습니다. 아모레퍼시픽 그룹의 뷰티 사업 매출은 9619억 원이었습니다. 지난 1분기보다 16%가량 줄었습니다. 중국 매출 비중이 높은 만큼 해외 사업의 실적 하락 폭이 컸습니다. 

2분기 해외 사업 매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3.2% 감소한 2972억 원이었습니다. 아모레퍼시픽 측은 온라인 채널에서는 성장세를 이어갔으나 중국 봉쇄로 면세 채널이 부진하면서 전체 실적이 감소했다고 합니다. 

아모페퍼시픽그룹의 뷰티 사업 매출은 9619억 원이었으며 지난 1분기 보다 16% 가령 줄었습니다. 중국 매출 비중이 높은 만큼 해외 사업의 실적 하락폭이 컸으며 2분기 해외 사업 매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3.2% 감소한 2972억 원이었습니다. 온라인 채널에서는 성장세를 이어갔으나 중국 봉쇄로 면세 채널이 부진하면서 전체 실적이 감소했다고 합니다. 

2. 면세 사업이 희비가 엇갈리다. 

두 업체의 희비를 가른 것은 면세 사업으로 보고 있습니다. 

면세사업은 대표적인 고 마진 사업으로 꼽히고 있고 이중 온라인 면세 사업은 고정비가 들지 않아 다른 채널보다 수익성이 높으며 2분기 LG생활건강의 면세 사업 매출은 3300억 원이었습니다. 전년 대비 68% 역성장했던 지난 1분기와 달리, 2분기엔 32% 정도로 역성장폭을 줄였습니다. 

LG생활건강은 중국 시장과 면세점 모두 최고급 라인인 '더 후 천기단' 브랜드 제품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하반기 전망도 나쁘지 않고 LG생활건강이 2분기 면세 사업 내 할인 정책을 변경했다고 해도 다른 채널보단 암 도적으로 마진율이 높을 것으로 보고 현재 중국 코로나 19 상황이 지난 1분기보다 개선됐다고 이에 따라 LG생활건강의 중국 매출 감소 폭도 줄어든 것이라 내다보는 견해가 팽배합니다. 

2분기 아모레퍼시픽의 면세 사업 매출은 1400억 원이었습니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4%, 지난 1분기보다 20% 감소했습니다. 럭셔리 브랜드 설화수를 필두로 펼치고 있는 원차이나 전략의 영양을 미쳤습니다. 

원차이나 중국 지역뿐 아니라 미국, 유럽 등 각국에 사는 모든 중국 소비자의 소비를 묶어 이커머스 등에서 통함 관리하는 정책입니다. 업계에선 수익성 개선과 장기적인 성장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전략으로 보고 있습니다. 

다만 면세사업에서 설화수 윤조 등 중급 라인이 주력하고 있는 만큼 회복하는 데에는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는 견해가 많습니다. 

아모레퍼시픽은 경영 주기 변경과 함께 올해 원차이나 전략과 중국 내 수익성 강화를 본격적으로 진행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설화수 브랜드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그 과정에서 설화수 브랜드 중 가격대가 저렴한 제품을 주로 판매하는 면세 채널의 매출 회복은 더딜 것으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3. 중국의 의존도를 낮추는 해법으로 시장의 다각화를 추진하다. 

LG생활건강과 아모레퍼시픽의 과제는 모두 탈 중국이다.라고 외치며 이를 위해 양사는 디지털 전호 나과 북미 시장 공략에 힘을 쏟고 있습니다. 

LG생 확 건강은 라이브 커머스 등 이커머스와 인공지능(AI)을 활용해 디지털 전환에 속도를 내는 중입니다. 또한 뉴 에이본을 인수하고 피지오겔의 아시아 및 북미 사업권을 확보하는 등 북미 시장에서의 입지를 높이고 있습니다. 

아모레퍼시픽도 자체 브랜드를 글로벌 화장품 편집숍 세포라에 입점시키며 새로운 거점을 마련했습니다. 올해 설화수는 아마존 등 신규 이커머스 채널에 입점했습니다. 라네즈는 시드니 스위니와 혐해 여러 캠페인도 전개하고 있습니다. 

실제 2분기 아모레퍼시픽 북미 시장 매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66% 증가하며 가파른 성장세를 이어갔습니다. 파리 등 유럽시장에서의 성장세를 보인 점도 고부적이라는 평가입니다. 

그러나 두 업체의 중국 의존도는 여전히 높은 편이며 북미 유럽 시장의 사업 역시 초기단계입니다. 결국 하반기도 중국 시장의 상황에 따라 실적이 달라질 수 있다는 얘기입니다. 

중국의 코로나 19봉쇄 정책이 완화 대고 있지만 최근 다시 변이 바이러스가 확산하고 있어 불확실성이 크며 중장기적으로 성장하려면 중국 의존도를 낮추는 동시에 북미 시장을 공략하는 게 필수라 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