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화학산업의 빅 4로 불리는 LG화학, 한화 설루션, 롯데케미컬, 금호석유화학에 대한 소식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LG화학, 한화 설루션은 신사업이 발목을 잡히고 코로나 효과 정점 지났지만 4분기는 대체로 좋을 전망이라 합니다. (롯데케미컬, 금호석유화학)

LG화학, 한화솔루션, 금호석유화학,롯데케미칼 로고 이미지 

본업은 강했지만 신사업이 불안했습니다. LG화학, 롯데케미컬, 금호석유화학, 한화 설루션 등 국내 4대 화학업체의 지난 3분기 실절에 관한 내용입니다. 

이들 화학 사업 영업이익은 견조한 흐름을 보였지만 LG와 한화의 경우 각각 전기차 배터리와 태양관 등 신수종 사업이 저마다의 이유로 수익성이 약화되었습니다. 오는 4분기 유사한 흐름이 예상됩니다. 본체는 수익성을 이어가겠지만 미래 성장을 담보할 신사업은 불안요소가 될 것으로 관측됩니다. 

-화학 4 3분기 영업이익 

화학4 3분기 영업이익 이미지 출처 :각사 자료

1. 여전히 강력한 본업(화학). 

LG화학, 롯데케미컬, 금호석유화학, 한화 설루션 등 국내 4대 화학 업체의 3분기 영업이익 합계는 ㄴ1조 81900억 원이었습니다. 작년 3분기 1조 5448억 원과 비교해 17.7% 증가한 것입니다. 하지만 직전 분기 3조 7086억 원과 비교하면 51%가량 급감한 수치입니다. 

업계 합산 영업이익이 출렁한 것은 덩치가 가장 큰 LG화학의 영업이익이 이회성 요인으로 급등락 한 탓입니다. 

1-1.LG화학

올해 2분기 LG화학의 영업이익은 사상 처음으로 2조 원을 넘겼는데 이는 소송전을 벌인 상대 SK 이노베이션으로부터 받은 합의금 2조 원 중 1조 원을 실적에 반영한 덕이다고 합니다. 그런데 3분기엔 자회사 LG에너지 설루션이 배터리를 납품한 제너럴 모터스(GM)의 전기차 '볼트'관련 리콜 충당금을 6200억 원 설정하면서 수익성이 급격히 악화했습니다. 

이 같은 특이사항을 제외하고 화학 사업만 놓고 보면 상당히 양호한 실적이었습니다. 

LG화학의 경우 3분기 영업이익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9.6% 감소한 7266억 원이었지만, 석유 화하 사업부문 영업이익은 1조 870억 원으로 1년 전보다 51% 증가했습니다. 

이역시 전분기 서유화학 부문 영업이익 1조 3250억 원과 비교하면 주춤한 것이긴 합니다. 하지만 PVC(폴리염화비닐), ABS(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 중심 주요 제품 수요가 강해 매출액은 5조 6300억 원을 찍으며 부닉 사상 최대치를 갈아치웠습니다. 

1-2. 금호석유화학

합성고무와 페놀유도체 사업이 견조한 흐름을 보이며 사상 최대 매출액을 기록했습니다. 

이 회사 매출액은 2조 2363억 원으로 전년 같은 기간보다 88% 증가했고, 영업이익은 6253억 원으로 193%나 늘어났습니다. 3분기 영업이익 규모는 4개 화학업체 중 2위입니다. 

1-3. 롯데케미컬

매출액은 4조 4419억 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46%, 영업이익은 2883억 원으로 49% 증가했습니다. 주력인 올레핀 사업 부문 영업이익만 1489억 원에 달했는데, 이는 1년 사이 88%나 급증한 것입니다. 

1-4. 한화 설루션

신사업인 큐셀(태양광) 부문 영업손실 957억 원을 기록하는 등 4개 분기 연속 적자를 냈습니다. 

이 회사 전체 영업이익은 전년보다 24% 감소한 1784억 원에 그치는 등 경쟁사보다 부진한 실적이었습니다. 하지만 케미컬 부문 영업이익은 전체 영업이익을 훌쩍 넘은 2668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68% 난 증가했습니다. 신사업이 발목을 잡은 셈이 되었습니다. 

 

2. 화학업계 4분기 성장세 유지 

오는 4분기에도 이들 4개사의 화학사업 실적은 전반적으로 견조한 흐름을 보일 것으로 업계는 예상하고 있습니다. 

코로나 1구 특수 효과가 정점을 찍었지만 수익성이 급격히 떨어지진 않을 것으로 관측됩니다. 또 3분기 변수가 됐던 LG와 한화의 신사업 실적의 방향은 다시 엇갈릴 전망입니다. 

LG화학은 본업에서의 매출 감소 요인이 있긴 하지만 수익성이 크게 훼손되지 않을 것으로 분석됩니다. 

회사 측은 대산 NCC 저 익 보수가 예정됐으나, 중국 전력 제한 조치와 석탄 가격 상승 영향으로 석유 화학 부문에서 견조한 실적이 유지될 것이고 관측했습니다. 

2-1. 전문가 의견

메리트 증권- 대산NCC정기보수 관련 기회손실은 약 2000억 원으로 예상하고 있고 석유화학 사업은 제품 공급에서 병목현상이 뚜렷해 긍정적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LG화학- 이번 분기의 발목을 잡을 리콜과 같은 일회성 요인이 제거됐다는 점이 긍정적이라 판단하고 자회사 LG에너지 설루션의 배터리 사업은 전기차 및 정보기술(IT)용, 수요 증가로 매출액이 성장할 것으로 기대했습니다. 

금호 석유의 경우 주력 분양 시황이 주춤한 상황이어서 3분기보다는 부진할 것으로 관측하고 있고 회사는 합성고무 부문에서 NB라텍스는 공급 증가로 인해 시장 가격이 하락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페놀유도체 부문은 페놀, 아세톤 가격은 보합세가 예상되고 BPA(비스페놀 에이)의 경우 수요 위축과 중국 수급 안정세로 스프레드 (원료와 제품 가격차)가 축소될 것이라 예측하고 있습니다. 

롯데 케미컬은 4분기에 올레핀 사업이 견조할 것으로 예상하고 올레핀 부문은 우너 재료비, 상승과 증설 부담이 지속될 것이라면서도 중국 전려 난에 따른 반사 수혜와 견조한 수요가 지속대 수익성은 보합을 전망한다고 합니다. 

한화 설루션은 태양광 사업은 여전히 부진하겠지만 케미컬 사업이 실적 개선을 이끌 것으로 보이고 케미 판 부문 PVC(폴리염화비닐), 가성소다 시화 강세로 양호한 실적이 예상된다고 보고 있고 큐셀은 출하량 증가에도 원가 부담이 이어져 적자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전고체 배터리 개발 경쟁 본격화되고 있습니다. 

상용화는 10년 뒤 정도 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으나 선점 경쟁이 심화되고 있습니다. 

전고체배터리 썸네일 이미지

차세대 전기차 배터리를 꼽고 있는 '전고체 배터리(All - Solid -State Bettery) 상용화 시기가 조금씩 다고 오고 있습니다. 

일본 완성차 도요타가 최근 전고체 배터리를 탑재한 시제품 차량을 공개했고 LG 에너지 솔루션은 개선된 기술을 선보이고 있습니다. 

전고체 배터리는 양극과 음극 사이 액체 전해질을 고체 물질로 대체한 것입니다. 리툼 이온 배터리에 필요한 전해액과 분리막을 없애고, 더 에너지 밀도가 높은 물질을 넣은 2차 전지입니다. 

효율과 안전성을 모두 높일 수 있어 지금의 리튬이온 배터리를 대체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전고체 배터리가 시장성을 확보할 시기는 아직 가깝지 않다는 전망이 우세하지만 기술 경쟁은 점차 치열해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1. 전고체 배터리 전쟁

LG에너니 설루션은 지난 24일 미국 샌디에이고 대학과 공동연구로 개발한 장수명 전고체 배터리 기술이 과학 저널 '사이언'에 게재했다는 소식이 들려오고 있습니다. 

연구 중인 기술을 적용하면 기존에는 60도 이상에서만 충전이 가능했던 기술적 한계를 넘어 상온(25도)에서도 충전이 가능합니다. 충방전 수명도 500회 이상 된다는 업체 측 설명입니다. 

LG에너지 설루션 관계자는 -500번 이상의 충전과 방전 이후에도 80% 이상의 잔존 용량을 유지한다고 합니다. 

지금 현재 상용화 된 리튬이온 배터리에 비해 에너지 밀도도 약 40%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도요타의 경우 전고체 배터리를 장착한 시제품 형태의 전기차를 세계 최초로 공개하면서 세계 관련 업계의 주목을 받았습니다. 

도요타의 제품은 2025년 무렵 시장에 나올 전망이라고 합니다. 순수 전기차가 아닌 하이브리드 전기차에 장착될 예정으로 상용 황에 한발 더 앞서가고 있다는 의미가 있습니다. 

2030년까지 약 16조 원을 전기차 배터리 생산과 개발에 투자하겠다는 계획도 발표를 한 상황입니다. 

도요타의 전고 관련 기술력이 세계에서 가장 앞서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산업연구원에서는 전고체 배티 특허 출원 건수(2011년~2020년) 전 세계 10위권에 일본 기업이 6곳이 올라가 있고 이준 도요타가 901건으로 가장 많습니다. 

리튬이온 배터리 시장을 한국과 중국 기업에 장악당한 일본 기업들이 전고체 배터리 시장만큼은 빼앗기기 않기 위해 기술 개발에 매진한 결과라고 판단됩니다. 

한국 기업은 3곳으로 일본 다음으로 많습니다. 그 기업들은 삼성전자(184건) LG화학(132건), 현대차(119건) 등입니다. 

2. 갈길이 먼 전고체 배터리 -미래시장 선점 각축전

전고체 배터리 시장을 장기적 관점에서 보고 있습니다.

전고체 배터니의 기존 시장 침투율이 2025년 1.2%에서 2030년 3.8% 수준일 것으로 예측했습니다. 가격이 비싸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어 시장 침투가 단기적으로 어렵다는 설명입니다. 

◆증권가 전문가들의 의견

NH투자증권

전고체 시장 규모를 오는 2025년 15기가 와트시(GWH)에서 오는 2030년 121 GWH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하면서도 기존 시장을 대체하기 까진 많은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했습니다. 

SK이노베이션의 배터리 분리막 부문 자회사인 SK 아이 이테크 놀로지(SK IET) 역시 전고체 배터리 시장의 개화를 대략 10년 이후로 보고 있습니다. 

SK IET는 지난 4월 기업공개(IPO) 간담회에서 - 전고체 배터리가 상용화되고 대량 생산이 되기 위해서는 빨라야 2030년 이후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생산하는 분리막은 전고체 배터리에서는 불필요하거나 다른 소재로 대체될 수 있어서 전고체 배터리의 조기 상용화는 이 회사로선 큰 위협입니다. 왜냐하면 상용 화각 되더라도 제조원가의 경쟁률이 떨어져 비싸고, 리튬이온 배터리와 전고체가 상당 기간 공존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삼성전자 종합기술원 차세대 전고체전지 기술 개요/자료=삼성전자 제공

그런데도 업계가 전고체 배터리 기술 개발을 멈추지 않는 것은 전기차 시장의 안전적, 장기적, 성장을 위해서 배터리 기술의 고도화가 필수적이어서입니다. 

업계 관계자는 '전기차가 확실한 대세가 되려면 안전성뿐만 아니라 핵심 부품인 배터리의 에너지 밀도를 증가시키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라고 합니다. 

삼성 SDI의 경우 삼성전자 종합기술원, 일본 연구소와 협력해 전고체 배터리 기술을 개발 중입니다. 

2027년 이후 상용화를 목표로 주행거리 800km, 1000회 이상 충방전이 가능한 전고체 배터리 연구 결과를 공개해 '네이처 에너지'에 개 하기도 했습니다. 

독일 폭스 바겐, BMW, 현대차, 미국 제너럴 모터스(GM)등 글로벌 완성차 업체들도 2025년~2030년 사이 시범 생산 혹은 양산에 나서겠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현대차와 SK의 경우 미국 '솔리드 에너지 시스템'에 각각 약 110억 원, 700억 원을 투자했습니다. 

솔리트 에너지는 리튬 메탈 배터리 시제품 개발에 성공, 사업화에 가장 근접한 차세대 배터리 개발사로 평가됩니다. 

고체보다 구현이 쉬운 액체 전해질과 고체 코팅을 조합한 하이브리드 배터리로 차세대 배터리 시장에서 우위를 점한다는 솔리드 에너지의 계획입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